[각종 예의 상식]/관혼상제 지식

[스크랩] ◆ 조문 예절◆

현정 (炫貞) 2008. 5. 31. 23:28
[[생활상식]] ◆ 조문 예절◆

◆ 조문 예절◆

조문 예절

조문가는 시간

가까운 친척 친지 가운데서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 오면, 가급적 빨리 상가에 가서 상제를 도와 장의준비를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가에 가면 우선 상제들을 위로하고 장의 절차, 예산 관계 등을 상의합니다.
할 일을 서로 분담하여 책임있게 수행해 줘야 합니다.
내용도 잘 모르면서 이일 저일에 참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또한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복장을 바르게 하고 영위에 분향 재배 합니다.
상주에게 정중한 태도로 예절을 잊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즉시 달려가서 도와주어야 하는 경우가 아닌사람은 상가에서 성복이 끝나기를 기다립니다.
상을 당한 직후에는 조문객을 맞을 준비가 안 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스스럼 없는 사이라면 염습이나 입관을 마친뒤에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현대에는 별로 괘념치 않고 돌아가신직후 조문 하여도 무방합니다.
▨ 남성조문객의 옷차림
★ 현대의 장례예절에서는 검정색 양복이 원칙입니다.
★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도 실례가 되지 않습니다.
★ 와이셔츠는 반드시 흰색으로 넥타이,양말,구두는 검정색으로 합니다.

▨ 여성조문객의 옷차림

★ 검정색 상의에 검정색 스커트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합니다.
★ 주름치마는 폭이 넓어서 앉아도 신경이 쓰이지 않아 편리합니다.
★ 검정색 구두에 무늬가 없는 검정색 스타킹이 좋습니다.
★ 그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시킵니다.
★ 또한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조문시 삼가야 해야할 일

★ 유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것은 실례가 됩니다.
★ 장의 진행에 불편을 주고 유족에게 정신적 피로감을 주기 때문입니다.
★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됩니다.
★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조문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합니다.
★ 고인의 사망 원인,경위 등을 유족에게 상세하게 묻는것은 실례가 됩니다.

▨ 조문 절차

★ 외투는 대문 밖에서 벗어 듭니다.
★ 상제에게 목례를 합니다.
★ 영정 앞에 무릎꿇고 분향을 합니다.
★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이면 왼손을 오른손목에 바칩니다.
☆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서 향로불 위에 놓습니다.
★ 만수향과 같이 만들어진 향(선향 : 線香)이면 하나만 집어서 성냥불이나 촛불에 붙입니다.
☆ 선향은 하나로 충분합니다.
★ 여러개일 경우 모아서 불을 끄더라도 꽂을 때는 하나씩 꽂아야 합니다.
☆ 향에붙은 불은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던가 왼손을 가볍게 흔들어 끕니다.
★ 향불은 절대로 입으로 불어서 끄지 말아야 합니다.
☆ 다음 두손으로 향로에 꽂습니다
★ 영정에 재배하고 한 걸음 물러서서 상제에게 절을 하고 위로의 인사말을 합니다 .

♣ 인사(절) 방법
1) 남자의 앉은 절
ⓐ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맞잡는다.(평상시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맞잡는다.)
ⓑ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린다.
(큰절의 경우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린다.)
ⓒ 맞잡은 손으로 땅을 짚고 꿇어 앉는다.
ⓓ 이마를 손등에 대고 몸을 숙여 절한다.
(큰절의 경우 평절에 비해 몸을 조금 더 숙이고,절을 한 상태에서 조금 더 머문다.)
ⓔ 오른쪽 무릅을 먼저 세우면서 일어난다.
ⓕ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렸다 내리고 약간 물러나면서 목례한다.
(큰 절의 경우 같은 손을 눈 높이까지 올렸다 내리고,같은 절을 한번 더 한다음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 앉은 절을 하고 앉음으로써 절이 끝나는 것이다.그러나 영전에서는 앉지 않고 그대로 물러난다.
조문의 경우에는 절을 마치고 서로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

2) 남자의 선 절

ⓐ 자세를 바로 하고 선다.
ⓑ 두 손을 양옆에 둔 채 몸을 30도 정도 굽힌다.(큰경례의 경우 45도 이상 깊숙이 숙인다.
ⓒ 자세를 바로 하고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3) 여자의 앉은 절 (큰절)

ⓐ 왼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맞잡고 선다.(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잡는다.)
ⓑ 맞잡은 손을 눈 높이까지 올린다.
ⓒ 무릎을 꿇고 앉는다.
ⓓ 몸을 깊이 숙여 절한다.
ⓔ ⓒ,ⓑ와 같이 일어선 다음 다시 ⓒ,ⓓ,ⓒ,ⓑ,ⓐ의 순서로 절한 다음 목례를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 평상시에는 다시 앉아야 하지만 영전에서는 그대로 물러난다.

4) 여자의 앉은 절(평절)

ⓐ 공손한 자세에서 두 손을 자연스럽게 양옆에 둔다.
ⓑ 두 무릎을 꿇고 앉는다.
ⓒ 허리를 20도 정도 굽히고 양손을 앞으로 향하여 바닥을 짚는다.(양손의 넓이는 어깨 넓이로 한다.)
ⓓ 자세를 바로 하고 일어난 다음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 다시 앉는다.앉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

5) 여자의 선절

ⓐ 손을 양 앞에 둔다.
ⓑ 양손을 앞으로 모으며 허리를 30도 정도 숙여 절을 한다.큰결례의 경우 45도 이상 깊이 숙인다.
ⓒ 허리를 펴고 자세를 바로 한 다음 목례하고 물러난다.

▨ 인사말

① 상제의 부모인 경우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친환(親患)으로 그토록 초민(焦悶)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환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뵙옵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 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 망극(罔極)이란 말은 부모상(父母喪)에만 쓰입니다.

② 상제의 아내인 경우 :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옛말에 고분지통(叩盆之痛)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 하십니까"
*고분지통(叩盆之痛) :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莊子)의 고사에서 나온 말입니다.
고분지통(鼓盆之痛)이라고도 합니다. (叩)= 두드릴 고

③ 상제의 남편인 경우 : "상사에 어떻게 말씀 어쭐지 모르겠습니다"
"천붕지통(天崩之痛)에 슬픔이 오죽하십니까."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 니까."
*천붕지통(天崩之痛) :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입니다.

④ 상제의 형제인 경우 : "백씨(伯氏) 상을 당하셔서 얼 마나 비감하십니까"
"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할반지통(割半之痛) :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그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입니다.
*백씨(伯氏) : 남의 맏형의 존댓말입니다.
*중씨(仲氏) : 남의 둘째 형의 높임말입니다.
*계씨(季氏)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입니다.

⑤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참경(慘景)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참척(慘慽) :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에 앞서 죽은 일을 뜻합니다.
*참경(慘景) : 끔찍하고 참혹한 광경을 뜻하는 말입니다.

jomun.jpg
     ◈ 인사말(예시)
♣ 조객이 먼저 빈소에 곡재배(哭再拜)합니다.
♣ 상주에게 절을 하고 꿇어 앉아 정중한 말씨로 예를 표합니다.
♣ 조객 : 상사말씀 무슨 말씀 여쭈오리까.
♣ 상주 : 모두 저의 죄가 많은 탓인가 봅니다.
♣ 조객 : 대고를 당하시니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상주 : 원로에 이토록 수고하여 주시니 송구하옵니다.
♣ 조객 : 병환이 침중하시더니 상사까지 당하시니 오죽 망극하오리까.
♣ 상주 : 망극하기 그지 없습니다.

▨ 조장(弔狀)·조전(弔電)

불가피한 사정으로 문상을 갈 수 없을 때에는 편지(弔狀)나 조전(弔電)을보냅니다.
부고(訃告)를 냈는데도 문상을 오지 않았거나 조장 또는 조전조차 보내오지 않은 사람과는 평생동안 말도 않고 대면도 하지 않는 것이 예전의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 조위금(弔慰金) 전달

① 조위금 봉투에는 초상의 경우 '부의(賻儀)'라 쓰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그밖에 '근조(謹弔)', '조의(弔 儀)', '전의(奠儀)', '향촉대(香燭臺)'라고 쓰기도 합니다.

② 조위금 봉투 안에는 단자(單子)를 쓴다. 단자란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이름을 적은 종이를 말합니다.
단자란 흰종이에 쓰는데 단자를 접을 때 세로로 세번정도 접고 아래에 1cm정도를 가로로 접어 올리면 됩니다.
단자를 보낼때에는 가능하면 조의(弔儀) 문구나 이름 등이 접히지 않도록 합니다.

③ 부조하는 물목이 돈일 경우에는 단자에 '금 ○○원'이라 씁니다.
영수증을 쓰듯이 '일금 ○○원정'으로 쓰지 않도록 합니다.
부조 물목이 돈이 아닐 경우 '금 ○○원' 대신 '광목 ○필' '백지 ○○권'으로 기재합니다.

④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되지만 '근정(謹呈), '근상(謹上)'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⑤ 단자의 마지막 부분에'○○댁(宅) 호상소 입납(護喪所入納)'이나 '○○상가(喪家) 호상소 귀중'과 같이 쓰기도 합니다.
요즘은 호상소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⑥ 집안에 따라서는 별도로 조의금을 접수하지 않고 함(函)을 비치하여 조의금을 받기도 합니다.

★ 자기가 집안 풍습이나 신봉하는 종교가 다르더라도 조상을 갔을 경우 해당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좋습니다.
★ 망인이 연만(年晩)하여 돌아가셨을 때 일반에서는 호상(好喪)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습니다.
★ 그러나 웃고 떠드는 일은 삼가시는것이 예의입니다.호상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삼가 아뢰옵니다.

이번 저희 아버님 상사시에 여러 어르신들과 선후배님들의 따뜻한 위로와

조의덕에 무사히 상례를 마치게 되었음을 깊이 감사드립니다.

가정 가정에 일일이 찾아 뵙고 인사를 드리는 것이 도리이오나 황망중이옵기

우선 서신으로 인사드리오니 해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07 년 O월 O일

O O O 拜上
---------------------------------------------------------------------------
感謝의 人事 드립니다.

항상 貴宅에 平安과 萬福이 함께 하시길 祈願합니다.

今般 저희 아버님 (故 0 0 0) 喪事時에

公私多忙 하심에도 不拘하시고

恪別하신 弔慰와 厚意를 베풀어 주시어 葬禮를

무사히 마치게 되었음을 眞心으로 感謝드립니다.

宜當 찾아뵙고 人事드림이 道理인 줄 아오나

慌忙中이로라 于先 紙面으로 人事드림을

널리 理解하여 주시기 바라오며

健康한 家庭에 幸運이 늘 함께 하시기를 祈願합니다.

2007 년 O월 O일

O O O 拜上
 

출처 : 행복의 웃음꽃이 피는 곳
글쓴이 : 수선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