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UNESCO) 평화의상징 또 하나의 유엔
지혜의 신이 모셔져 있다는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을 심벌로
세계 190여 개국이 참여하는 “또 하나의 유엔” 유네스코는
언어와 피부, 이념과 종교, 빈부와 성의 차이를 뛰어넘어
교육과 과학, 문화 분야의 국제 협력을 통해 서로를 사랑하는
마음을 싹트게 함으로서 참다운 세계 평화를 추구한다
인류에게 엄청난 재앙을 몰고 온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인류는 소수 강대국들의 정치적, 군사력 노력만으로는
평화가 유지 될 수 없으며 각 민족의 문화적 유산과 역사를 서로
이해하는 것이 평화의 참된 기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닭게 되었다
그리하여 1924년 국제연맹 산하에 “국제지적협력위원회”라는
유네스코의 전신이 결성되었지만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어 또 다시 2차 세계대전을 치르면서 더욱 보편적이며 효율적인
평화 기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고 1945년 드디어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인 유네스코가 탄생했다
초기에는 교육과 문화 분야에만 “유네코”로 부르려 했지만
나중에 과학 분야가 들어서면서 “유네스코”로 불리게 되었다
이들은 문맹 퇴치와 초등의무교육을 지향한 회원국들의 노력을
뒷받침하고 사상과 지식의 국제적인 교류를 장려하는데 일조하여
대중 교육과 문화 보급 및 지식의 유지와 전파, 증진을 위한
활동을 벌리고 있다
또 광범위한 분야의 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6년 단위로
유네스코 중기계획을 수립해 나간다
6, 70년 대에는 저개발국가에 대한 관심 고조로 상당 부분이
교육, 과학 개발에 할당되었지만 80년 대에 들어서면서 예산
규모가 커지고 지나치게 정치성을 띠고 있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결국 미국은 1984년 유네스코를 떠났다
유네스코는 유엔기구 전반에 대한 자문기구 역할을 담당하는 것
外에 다양한 국제 기구들과도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어
지적, 정신적 분야의 유엔으로 알려져 왔는데 우리나라는
1950년 제5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ks편 유네스코에서는 “세계문화 밑 자연유산 목록”을 지정함으로서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귀중한 문화제와 자연경관 가운데
우리가 반드시 지키고 가꾸어 후세에 물려 주어야 할 곳을 선정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의 불국사, 석굴암, 종묘,
해인사의 팔만대장경 등이 포함되어있다
착한사슴 옮긴글
'[여유가 있는 공간]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朝鮮의 박물학자 (玆山魚譜의 정약전) (0) | 2007.09.19 |
---|---|
[스크랩] 아름다운 섬 홍도 (자생식물) (0) | 2007.09.19 |
[스크랩] 사직 마무리 십계명 (0) | 2007.09.09 |
[스크랩] 활기찬 인생을 위한 10가지 충고 (0) | 2007.09.09 |
[스크랩] 실직자 절망 극복 십계명 (0) | 2007.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