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마산자랑 과 나]/내고향 마산!

월영대(月影臺)/경상남도 기념물 제125호

현정 (炫貞) 2018. 10. 29. 14:00


<월영대(月影臺)/경상남도 기념물 제125호>


경남 마산합포구 월영동에는 월영대(月影臺)가 있다.
경남대 입구에서 바로 왼쪽 길가에 보면 작은 누각이 있는데 이곳이 바로

월영대(月影臺)라고 한다.

월영대 [月影臺]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운동에 있는 최치원(崔致遠:857∼?)선생이

제자를 가르치던 곳.
지정종목 : 시도기념물
지정번호 : 경남 기념물 제125호
지정일 : 1993년 01월 08일
시대 : 통일신라
종류 / 분류 : 누각



1993년 1월 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신라시대 문창후(文昌候) 최치원 선생이 대(臺)를 쌓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높이 1.2m 정도의 직사각형 보호 축대로 둘러져 있고,

동편 중앙에는1691년(숙종17) 최위(崔瑋)가 창원도호부로 부임하며 정화하고 세운 유허비(遺墟碑)가, 서편에는 1930년경 최씨 문중에서 추모비를 세워 팔작지붕 비각에 안치하였다.

동북쪽에 최치원이 〈월영대〉라고 쓴 3자가 각각 23㎝ 크기의 해서체로

높이 210㎝, 폭 35㎝ 정도의 입석에 새겨져 있다.

입석 측면과 뒷면의 글씨는 마모가 심해 판독하기 힘들다.

남쪽에 〈숭정후신미 칠월 일 부사 최위중수(崇禎後辛未 七月 日 府使 崔瑋重修)〉라고 쓴 보수비가 있어 1691년(숙종 17)에 보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조선시대를 거치며 안축(安軸)·정지상(鄭知常)·정이오(鄭以吾)·

이황(李滉)·이민구(李敏求)등 수많은 문신, 선비들이 이곳을 순례하고 남겨놓은 시들이 《동문선(東文選)》〈여지승람(與地勝覽)〉에 남아 있다.

[월영대 [月影臺] (두산백과)



                                                 
                   

이곳은 신라 말 문창후 최치원이 해인사로 들어가기 전에 말년을 보내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장소이다.
지금은 해안이 매립되어 옛 모습을 잃었지만, 옛날에는 이곳의 바로 아래에 백사장이 있어서 합포만의 아름다운 경치를 그대로 즐길 수 있었다.

이곳에는 월영대라고 쓴 2.1미터 높이의 비석이 있는데, 선생이 직접 쓴 것이라 한다.
본래의 이 비석의 앞. 뒷면에 글씨가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심하게 마모되어 알아볼 수가 없다.
선생이 죽은 뒤 이곳을 선비들의 순례지가 되어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선생의 학문을 흠모하였다.


척강문(陟降門), 글자 뜻대로 해석하자면, '오르고 내리는 문' 정도이다.
그러나 그 이상의 의미가 있을 것 같아서 중국의 자전을 찾아보니, '오르내린다'라는 의미는 맞지만, 고사가 담겨 있었다.

<<시경>> 대아에 나오는 말로, "文王陟降在帝左右'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신이 된 문왕이 하늘과 땅 사이를 오르내리면서 상제를 좌우에서 돌보고,

이로써 자손이 그 혜택을 본다는 의미였다. 주희의 해석이다.
어느 누가 저 글씨를 썼는지, 또 문 이름을 척강문이라고 지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결국 조상신을 모시는 사당의 문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 같다. 그렇게 보면 최씨 문중에서 세운 것이 아닐까 한다. 1920년대의 사진에는 비각도, 척강문도 없었으므로 이 문을 세운 연도는

그리 멀지 않은 시기인 것으로 보인다.
[출처] [마산역사] 월영대의 '척강문陟降門'|작성자 옥가실

                                                        

     


                                          

     

  

       

  



                                                                                                                                                                          

유허비                                     

   

문창후 해운 최선생 추모비


  

          

                                월영대의 내부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