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 에워싼 ‘해상 春國’… 거문도
[출처 : http://pic.joins.com]
![](http://life.joins.com/component/media/htmlphoto/200303/HP_20030305100929-001.JPG)
노란 유채로 시작된 제주의 화신(花信)은 매서운 겨울바람이 지나간 남도의 끝자락에서 수줍음을 머금은 채 진홍빛을 토해낸다. 산기슭 바윗돌 틈에 새빨간 동백꽃이 유혹적으로 피어나는가 하면 떨어진 동백꽃은 등산로를 붉게 물들인다.
![](http://hemosoo2.tourexpress.com/imgpath/image/package/map/DCA004.jpg)
꽃샘 추위가 매섭긴 하지만 남녘에는 벌써 봄기운이 물씬 풍긴다. 파릇파릇 돋은 보리싹이 봄을 알린다. 낚싯배와 유람선이 하얀 물살을 길게 늘어뜨리며 짙푸른 바다를 가른다. 90여년간 다도해상을 묵묵히 지켜온 하얀 등대. 그 사이로 동박새는 동백꽃을 입에 문 채 하늘 높이 날아오른다. 이른 봄철 거문도에서만 볼 수 있는 아름다운 풍광이다.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3/GP_200303041748507010200-001.JPG)
겨울철 흰눈 속에서 싹을 틔우고 엄동설한에 꽃망울을 터뜨리다 시들기도 전에 향내를 풍기며 땅에 떨어진 동백. 선인들은 아름다움의 극치라고 다투어 노래했다. 여수항에서 뱃길로 1백15㎞ 떨어진 거문도는 섬 전체에 동백나무가 우거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중심지다.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3/GP_200303041748507010200-002.JPG)
여수항을 출발해 돌산대교 아래를 빠져나가면 자그마한 섬들이 점점이 떠있다. 백야도와 개도를 끼고 돌면서 바다의 풍광은 일변(一變)한다. 저 멀리 오른편으로 나로도가 길게 누워있고 수평선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 쌍동 쾌속선인 페가수스호를 타고 손죽도-초도를 거쳐 1시간50분 거리다.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3/GP_200303041748507010200-003.JPG)
동도.서도.고도 등 3개의 섬이 병풍처럼 둘러처져 1백여만평의 천연 항만이 호수처럼 형성된 천혜의 항구다.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南下)정책을 막기 위해 1885년 무단 점령하고 '해밀턴항'이라고 서방세계에 처음 소개했던 역사의 현장이다.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2/GP_200302281738537090100-001.JPG)
거문도에는 2개의 등대(거문도.녹산등대)가 있다. 선착장에서 고도와 서도를 잇는 삼호교를 건너 왼편으로 5분여 차를 타고 간 후 걸어야 한다. 물이 넘나드는 무넘기에는 잔교(나무 길)가 갯바위를 연결하고 있다. 1~2분 정도 산길을 오르면 동백터널이 나타난다. 자갈 길과 흙 길을 따라 10여분을 걸어가면 거문도 등대에 닿는다.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3/GP_200303041748507010200-004.JPG)
거문도에서 일출과 일몰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기 좋은 곳이 보로봉이다. 보로봉에서는 거문도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며 신선바위.기와집몰랑 등 기암괴석을 감상할 수 있다.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3/GP_200303041748507010200-005.JPG)
거문도에서 뱃길로 70리를 달려간 백도(白島)는 국가명승지 제7호다. 상백도와 하백도를 포함한 39개의 무인 군도로 이뤄져 있다. 촛대바위.매바위.형제바위.왕관바위.각시바위.거북바위 등 저마다 나름의 전설이 어려 있는 기암괴석들이 군무(群舞)를 하는 듯하다.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2/GP_200302281738537090100-002.JPG)
'옛날 중국의 명장(名匠)인 공수가 만든 작품인가. 조화를 부리는 귀신의 도끼로 다듬었는가. 육면(六面)으로 된 돌기둥은 무엇을 본떴는가.'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3/GP_200303041748507010200-006.JPG)
옛 시인 송강이 관동별곡에서 금강산의 해금강 총석정에 대해 풀어놓은 이같은 감탄을 백도에서도 느끼게 된다. 천상의 선녀가 오색실을 풀어놓은 듯 오전과 오후, 그리고 바라보는 방향과 기상에 따라 천태만상으로 바뀌는 백도의 아름다움. 어려운 뱃길을 달려온 관광객들에게는 환상, 그 자체로 다가온다.
![](http://pic.joins.com/component/media/gallery/200302/GP_200302281738537090100-003.JPG)
| x-text/html; charset=iso-8859-1" x-x-allowscriptaccess="never" invokeURLs="false">
|
|
|
<출처;yahoo 귀수황하영 (hwangha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