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빡깜빡하는 건망증에 어떻게 대처할까?
① 최대한 많이 머리를 굴려라 / ② 뇌 산소 빼앗는 과식·비만 조심 / ③ 끼니 꼬박꼬박, 포도당 일정하게
중년이 되면서 늘 갖고 다니는 열쇠나 지갑을 하루에도 몇 번씩 찾고, 대화 중 동창생 이름이 갑자기 안 떠오르는 일이 다반사다. 거리에서나 쇼핑을 하다가도 '가스불을 잠갔나?''문단속은 제대로 했나?' 자문해 보지만 도통 기억이 안난다. '내가 혹시 벌써 치매?'. 이런 생각이 떠오르면서 덜컥 겁부터 난다. 독일의 문호 괴테는 82세에 파우스트도 집필했다는데. 과연 노년기까지 또렷한 기억력을 유지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60대 연령층을 대상으로 체력검사를 해보면 평상 시 운동, 식사, 질병 관리에 따라 30~70대의 분포를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것. 건망증과 치매의 가장 큰 차이점은 특정 사실과 관련된 힌트나 부연 설명을 했을 때 '아, 그거~' 하며 떠올릴 수 있느냐 하는 점이라고 한다.
떠올리면 건망증, 까맣게 잊어 버리면 치매다. 건망증은 우리 뇌의 어딘가 저장해 둔 기억을 제때 효과적으로 꺼내지 못한 상태이다. 반면 치매는 뇌손상으로 기억 자체가 안 되는 병이다. 몸에 좋은 음식이라며 많이 먹다 보면 섭취 칼로리가 높아지고, 비만과 고지혈증으로 이어져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 각종 만성병에 시달린다. 문제는 이들 질환이 뇌 혈액순환 감소의 요인이 된다는 점. 산소와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니 뇌 기능이 떨어져 궁극적으로 기억력을 감퇴시키는 것이다. "실제 하루 30분 이상 운동한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치매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강조한다. 운동은 매일 같은 시간에 해야 한다. 노인은 평지를 빨리 걷는 운동이 가장 권장된다. 만일 관절염이나 요통 때문에 일반적인 운동을 하지 못할 때는 누워서 하는 운동이나, 물에서 하는 운동 등 적절한 종목을 선택하도록 한다. |
'[건강이 있는곳] > 건강을 지키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말 단식으로 몸 대청소 (0) | 2007.12.12 |
---|---|
[스크랩] 여자들 최고의 보약 쑥 (0) | 2007.12.12 |
[스크랩] 어깨 풀리는 체조 (0) | 2007.12.12 |
[스크랩] 약보더 더 안전한 감기치료 음식 (0) | 2007.12.12 |
[스크랩] 이런 증상 나타나면 뇌졸중 의심을... (0) | 2007.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