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Myanmar]
공식 명칭 : 미얀마연방(Union of Myanmar)
인구 : 42,720,000
면적 : 676,577 ㎢
수도 : 양곤
정체·의회형태 : 군사정권
국가원수/정부수반 : 국가평화발전위원회 의장/국가평화발전위원회 의장
공식 언어 : 미얀마어
독립년월일 : 1948. 1. 4
화폐단위 : 미얀마차트(Myanmar kyat/K)
국가(國歌) :Gba majay Bma("We shall love Burma for ever")
인구 : 42,720,000
면적 : 676,577 ㎢
수도 : 양곤
정체·의회형태 : 군사정권
국가원수/정부수반 : 국가평화발전위원회 의장/국가평화발전위원회 의장
공식 언어 : 미얀마어
독립년월일 : 1948. 1. 4
화폐단위 : 미얀마차트(Myanmar kyat/K)
국가(國歌) :Gba majay Bma("We shall love Burma for ever")
![](https://t1.daumcdn.net/daumtop_deco/icon/image.hanmail.net/hanmail/fireball/dic/2005/b_dot.gif)
공식 이름은 미얀마 연방(Pyidaungzu Myanma Naingngandaw/Union of Myanmar). 옛 이름은 버마.
동남아시아 벵골 만과 안다만 해의 동쪽 해안을 따라 자리잡고 있는 나라. |
|
|
미얀마는 지형상 북부 산악지방, 서부 산악지방, 중부 저지대, 동부의 샨 고원 등 4개 주요지역으로 나뉜다. 북부 산악지방은 미얀마 최북단으로, 중국과의 국경지대에 있는 이 나라 최고봉 카카보 산(5,881m)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린 쿠몬 산맥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다. 서부 산악지방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이지만 주요고지대로서, 히말라야 산맥 최동단에서 남쪽으로 뻗으면서 해발 3,000m 높이까지 치솟은 여러 봉우리들로 이루어진 구릉지대를 형성한다. 더 남쪽으로는 인구가 희박하고 삼림이 빽빽한 아라칸 산맥이 자리잡고 있다. 중부 저지대는 아라칸 산맥과 샨 고원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며 벵골 만을 향해 펼쳐진 아라칸 해안평야와 안다만 해에 접해 있는 좁다란 테나세림 해안평야, 인구밀도가 조밀한 이라와디 강과 시탕 강의 삼각주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4번째 주요지역은 깊이 개석(開析)된 샨 고원으로 미얀마의 가장 동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중부 저지대에서 갑작스레 치솟은 지형으로 단번에 600m까지 치솟은 곳도 있다. 샨 고원의 평균 높이는 900m이고 몇몇 산봉우리들은 2,600m가 넘는다. 남쪽으로 가면서 고원은 테나세림 산맥으로 흡수된다.
미얀마의 산맥은 남북으로 뻗어 있어 이라와디와 살윈 강 같은 주요 강들의 수로를 결정한다. 이라와디 강은 전체 길이가 2,100km이며 그중에 약 1,450km는 항해가 가능하고 전국토의 3/5 정도의 지역을 통과해 흐른다. 살윈 강은 이라와디 강 동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샨 고원 지방을 통과해 마르타반 만으로 흘러나간다.
기후는 열대성기후로서 아시아 남부 계절풍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1년은 크게 세 계절로 나뉘어지는데 10∼2월은 서늘하고 건조한 시기, 3∼5월 중순은 덥고 건조한 시기, 5∼10월은 계절풍이 부는 우기로 이루어진다. 연강우량은 해안평야와 산맥이 있는 지방의 5,100㎜에서 만달레이 주변 중앙분지의 900㎜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인다. 강우량의 거의 대부분이 여름의 우기에 내린다. 가장 서늘한 달과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은 샨 고원의 고지대에서는 23∼32℃이고, 남부의 양곤에서는 29∼36℃이다.
미얀마는 산이 매우 많아 경작지가 전체 국토면적의 1/6 정도에 불과하다. 그 가운데 1/10 정도만이 관개가 이루어지며 이곳에서 주로 쌀을 재배한다. 국토 어디에도 초지로 이용할 만한 곳이 거의 없으며 국토의 거의 절반이 삼림으로 우거져 있다. 저지대의 자연식생은 강수량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강우량이 2,000㎜가 넘는 지역에서는 상록 열대림이, 삼각주지대에서는 무성한 홍수림 수목들이 자란다. 1,000∼2,000㎜의 강우량을 보이는 지방에는 티크를 포함해 재질이 단단한 몬순림이 풍부하며 강우량이 1,000㎜ 미만인 지역에서는 삼림지들이 점차 관목지로 바뀌어간다. 산악지방에서는 해발 1,000m의 강상(降霜) 한계선 위로 참나무와 소나무 숲이 발견된다. 여러 종류의 새·포유동물·뱀들이 서식하는 우림이 발달해 있어 동물군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나타난다. 코끼리와 호랑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나 여전히 중요한 동물들이다. 샨 고원에는 은·구리·납·아연 광상들이 있으며 테나세림 해안지대에는 텅스텐과 주석의 충적광상, 그밖에 석유 및 천연 가스 등을 비롯해 상업상 개발 가능한 광물자원들이 있다. 북부 산악지방에서는 양질의 비취가 채광된다.
|
|
미얀마 국민의 3/4이 이라와디 강 유역의 전 지역과 좁다랗고 길게 뻗은 해안지대에 살고 있다. 친드윈 강의 서쪽 구릉지대에는 여러 친(Chin) 부족들이 살며 이라와디 강 상류지역과 북부 구릉지대에는 카친 부족들이 살고 있다. 샨 고원에는 보통 와족과 팔라웅족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류되는 샨족이 살고 있다. 삼각주 지대, 페구 산맥, 살윈 강 하류 등지에는 카렌족이, 샨 고원의 남쪽 기슭에는 카야족이 거주한다. 전국민의 약 9/10가 불교도들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그리스도교도·이슬람교도이거나 애니미즘 신봉자들이며 힌두교도들은 극소수이다.
미얀마에는 단순한 방언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100개가 넘는 토착어가 있으나 공용어는 미얀마어로서 평야와 산악지방의 주민 모두가 사용한다. 버마라는 공식 이름으로 불렸던 영국 식민지시대(1885∼1948)에는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했으나 독립한 후로 영어는 공용어로서의 자격을 잃었다. 그러나 영어의 기초 지식은 각급 학교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1981년에는 영어를 교과 과정에 다시 복귀시켰다. 아시아에서 인구밀도가 희박한 나라 가운데 하나로서, 기복이 심하고 삼림이 우거진 지방에는 아직도 단지 소수의 사람들만이 살고 있을 뿐이다. 촌락은 작은 마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국민의 1/4 미만의 사람들만이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연간 인구증가율은 세계적인 수준에 비하면 다소 높은 편이지만 동남아시아의 수준으로 보면 대략 평균치에 이른다. 비교적 높은 유아 사망률은 1950년대 이후로 상당히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도시로는 이라와디 강 삼각주에 위치한 양곤과 내륙의 만달레이를 꼽을 수 있다.
|
|
미얀마는 사회주의 중앙 계획 경제체제를 택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으로 산업은 대부분 국영화되어 있으며 경제는 주로 농업과 무역에 기초를 두고 있다. 세계에서 1인당 국민총생산(GNP)이 매우 낮은 국가들 가운데 하나이다. 국내총생산(GDP)의 3/5 정도는 농업·수렵·임업·어업 등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서비스업과 제조업이다. 농업부문은 노동력의 약 2/3를 고용하고 있다.
쌀은 가장 중요한 농작물로 재배에 많은 노동력을 고용함으로써 경제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쌀은 이 나라 제1의 수출품이기도 하다. 그밖에 중요한 농작물로는 옥수수·땅콩·콩류·목화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채소·과일 등도 재배한다. 미얀마에는 초지가 거의 없지만 유제품 제조목적으로 사육하는 소(전체 가축의 약 1/10 정도)를 비롯해 많은 수의 가축을 기르고 있다. 소는 비교적 높은 건조지대에서 사육된다. 그밖의 가축으로는 돼지·물소·염소 등이 있다. 삼림지대에서는 해외무역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티크 목재를 생산한다. 생선은 미얀마의 일상 식품에서 쌀 다음가는 필수식품인데, 전체 어획고의 대부분이 바다에서 잡은 것이다. 타이로부터 들어온 유럽 잉어(European carp)와 틸라피아가 어류 양식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 제조업은 저개발 상태로 단지 GDP의 1/10 정도만을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주요제조품으로는 정유제품·시멘트·적설탕·원당·땅콩기름·생선통조림·질소비료·면직물·담배와 천연 강철 등이 있다. 미얀마 전력생산의 거의 절반 가량은 수력발전소에서 이루어지며 나머지는 화력발전으로 생산된다. 정부는 1960년대초 모든 대기업·금융제도·보험·외국무역과 국내 도매업·소매업의 9/10를 국영화했다. 1973년에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외국투자를 다시 허용했으며, 1980년대 후반에는 그 이상의 자유화 조치를 취했다.
정부 예산세입의 약 1/2은 일반 매출액, 부가가치세와 국영기업체의 수입으로 이루어진다. 20세기말에는 몇 년 동안에 대외 원조가 주요세입원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철도는 국가 소유의 미얀마철도회사가 운영한다. 많이 이용되는 도로망은 겨우 2/5 정도만이 포장되어 있을 뿐이다. 광범위한 내륙 수로망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약 1/4은 대형 선박들의 항해가 가능하다. 제1항구는 양곤이며 그밖에 여러 주요항구들이 있다. 국제 항공운송은 양곤 가까이에 있는 밍갈라돈 공항을 통해 이루어진다. 미얀마의 수출품목으로는 쌀과 티크 목재가 가장 우세하고, 다음으로 금속 광석과 보석을 꼽을 수 있다.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수입액이 수출액을 초과했다. 수입품목은 주로 기계류와 운송설비로 이루어진 자본재·원자재와 예비 부품 및 소비재 등이다. 주요 무역대상국은 일본,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 유럽 경제공동체(EEC)이다.
|
|
1974년 제정된 헌법은 미얀마를 미얀마사회주의계획당(Myanmar Socialist Program Party/MSPP)이 지배하는 1당제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명시했다. 국가의 최고 권위는 헌법에 의해 단원제 인민의회에 주어져 있었다. 인민의회 의원들은 MSPP가 지명하고 4년 임기로 국민들의 형식적인 투표를 통해 선출되었다. 인민의회는 총리와 각료들, 29명으로 구성된 국가자문위원회 위원들을 선정했다. 자문위원회의 의장은 교대로 돌아가며 선출되며, 의장은 동시에 대통령이자 국가 수반이었다. 1988년 권력을 장악한 군사정권은 이전의 모든 기구들을 폐지하는 한편 정당에 대한 금지령도 철회했다.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State Law and Order Restoration Council/SLDRC)의 의장은 국가 수반이자 정부 수반이기도 하다.
미얀마의 국민들은 전반적으로 열악한 보건 상태와 말라리아·콜레라·결핵·간염·페스트·뎅그열·뇌염 등과 같은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보건문제들은 정규 의료인의 부족으로 더욱 악화되고 있다. 공공의료시설은 도시 지역에 제한적으로 갖춰져 있을 뿐이다. 평균수명은 남자 60세, 여자 64세이다. 교육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초등교육에 역점을 두고 있다. 5∼9세의 어린이들은 의무교육을 받는다.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사람이 전체인구의 약 80%를 차지한다. 양곤과 만달레이 시에는 예술대학교와 과학대학교가 1개씩 있다. 다른 나라들과의 지식·문화 교류는 1960년대에 시작된 군사정부에 의해 급격히 축소되었다. 미얀마의 뉴스미디어는 정부 소유로 운영되고 있다. 헌법은 검열제도를 금지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지도자나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찬양 이외에는 국가의 제반 문제들에 대해 거론할 수 없다.
|
|
미얀마에 사람이 처음으로 정착해 산 곳은 약 1만 1,000년 전 이라와디 강 중류유역으로 추측되고 있다. 대략 BC 100∼AD 800년경 피우족으로 알려진 일단의 티베트미얀마어계 민족이 이라와디 강 상류유역에 나타났다. 남쪽에는 몬족(族)으로 알려진 오스트로아시아어족(語族)에 속하는 민족이 시탕 강 유역에 정착해 타톤에 항구 수도를 세웠다. 수도를 프롬(피에)에 정하고 번영을 누렸던 피우국(國)과 마찬가지로 몬족이 세운 나라도 번영을 누렸다. 9세기 피우의 수도는 중국 남조(南朝)의 타이산에게로 넘어갔다. 피우에게 지배를 받던 미얀마인들은 티베트미얀마어계 여러 민족들을 장악하고 파간을 그들의 수도로 정했다.
1044년 파간에서 아나우라타가 왕좌에 올라 몇 년 동안에 미얀마 전체를 하나의 왕국으로 통일하고 최초의 미얀마 제국을 수립했으나 1287년 몽골족의 침략을 받아 무너지고 말았다. 16세기 퉁구 왕조 치하에서 최초로 재통일이 이루어져 1752년까지 단속적으로 계속되었으나 곧이어 다시 몬족의 미얀마 지배가 시작되었다. 미얀마의 저항세력은 민중지도자 알라웅파야를 중심으로 다시 모였으며, 1759년에는 마침내 미얀마 전역을 확보하고 미얀마 최후의 왕조를 건설했다. 알라웅파야 왕국은 인접 국가들을 놀라게 할 만한 팽창정책들을 펼쳐 나갔다. 특히 아삼 지방에 대한 미얀마의 야심은 영국과 충돌한 계기가 되었다. 미얀마는 아삼 지방을 점령했으나 2번에 걸친 영국-미얀마 전쟁(1824∼26, 1852)으로 아삼 지방뿐만 아니라 마니푸르·아라칸·테나세림과 페구까지 잃고 말았다. 이어 미얀마의 나머지 지역은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이 끝나면서 1885년 영국으로 넘어갔다. 영국의 지배 아래에서 미얀마는 인도의 일개 주(州)로 전락했다. 영국은 불교를 국교로 계속 인정할 것을 거부하여 미얀마인을 분개시켰으며 더욱이 영국의 자유방임 경제정책들은 미얀마 국민 대부분을 소외시켜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 이러한 일들로 1931년 농민 봉기가 일어났으며 그로 인해 1937년 영국은 미얀마를 인도에서 분리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일본에 점령당했으며 1948년초까지 다시 영국의 통치를 받았다. 1962년에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면서 사회주의 미얀마를 건설할 목적으로 혁명위원회가 조직되었다. 군 지도자들은 미얀마의 주요기업들을 국영화했으며 미얀마를 외부세계와의 접촉으로부터 고립시키면서 급속한 공업화 정책에 착수했으나 실패했다.
1980년대말까지 정부의 부패와 잘못된 관리정책으로 자원이 풍부한 미얀마는 세계에서 매우 가난한 나라 중의 하나가 되었다. 오랫동안 쌓여온 대중의 불만이 1987∼88년 광범위한 반(反)정부 폭동으로 터져나왔으나 군의 폭력 진압으로 실패했다. 그후 미얀마사회주의계획당(MSPP)의 1당독재는 폐지되었고, 여러 정당이 속속 등장했다. 1990년 5월 헌법 개정을 위한 총선에 약 90개의 정당이 참여해 야당인 민주국민동맹(National League for Democracy/NLD)이 압도적으로 승리를 거두어 새 의회의 의석을 대부분 차지했지만, 1988년부터 권력을 장악한 군사정부의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SLORC)는 선거무효를 선언하고 당선자의 상당수를 투옥시켰다. SLORC가 장악한 국회는 신헌법을 제정했고, NLD의 지도자이며 1991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아웅산 수지와 야당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탄압했다.
|
|
1996년 현재 대한수입이 설비기자재·기계류·타이어·튜브·어망·로프 부문에서 1억 3,028만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대한수출은 티크·향료·주석광 부문에서 1,820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1997년 상사 및 기업 주재원 등 388명의 한국인이 체류하고 있다.
|
|
출처 : sky star
글쓴이 : 명희 원글보기
메모 :
'[취미생활과 여행] > 세계의 명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간동아]말레이시아가 더욱 재미있어지는 축제 50가지 (0) | 2007.04.29 |
---|---|
[스크랩] [주간동아]말레이시아 골프 천국으로의 초대 (0) | 2007.04.29 |
[스크랩] 북극의 아름다움~~~ (0) | 2007.04.24 |
[스크랩] 잉카-피삭 일요시장 (0) | 2007.04.24 |
[스크랩] 잉카의 성스러운 계곡 순례(2)-올란타이탐보 (0) | 2007.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