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등산의 물질적 요소 중 하나인 등산 장비란 "등반자가 목적한 산을 보다 안전하게 오를 수 있도록 도와주고 보호해 주며 조난 시에는 꼭 필요한 도구"를 말한다. |
|
등산 장비는 등반자의 노력과 올라가야 할 산 그리고 계절에 따라 일정한 장비가 필요하다. 장비를 갖추고 준비할 때에는 경험자나 산악회 등에 조언을 구해서 장비의 성능을 잘 알아야함은 물론 사용법과 보존법을 충분히 습득해야한다. |
|
등산 장비에 관한 참된 산악인은 필요한 최소 한도의 장비를 최대한도로 활용할 줄 아는 기술과 몸가짐을 갖고 있어야 한다. |
|
|
1. 장비의 선택 요령 및 구비 조건 |
|
가볍고 부피가 적은 것 |
|
취급 및 사용하기 간편한 것 |
|
튼튼하고 질기며 파손 우려가 적은 것 |
|
사용 효과 즉 성능이 좋은 것 |
|
자기의 체격과 기술에 적합한 것 |
|
|
2. 실제 등산에 따른 장비 준비 |
|
|
1) 당일 산행(봄, 여름, 가을) |
|
복 장 |
|
등산화(클레터 슈즈, 카라반 슈즈 등 경등산화), 방풍 및 방수의(오버트라우져), 예비옷, 예비양말, 손수건, 모자 등 |
등반 운행구 |
|
배낭(30리터), 수통, 배낭 커버, 지도, 컴퍼스, 라디오, 시계 |
취 사 구 |
|
대부분의 산이 취사금지 구역이므로 도시락 및 행동식으로 대치 |
기 타 |
|
다용도칼, 랜턴, 구급약, 사진기 등 |
|
|
2) 당일 산행 (겨울철 - 적설기) |
|
1)의 준비물을 모두 포함하며 다음의 것을 추가함 |
|
복 장 |
|
등산화(비브람, 프라스틱화 등 방수 처리된 중등산화), 파카, 오버트라우즈, 장갑, 털모자, 오버미튼 |
등반 운행구 |
|
아이젠, 스패츠, 피켈(또는 스키스톡), 보온병 |
|
|
3) 야영 산행(장기 산행) |
|
1), 2)의 준비물을 모두 포함하며 다음의 것을 추가함 |
|
등 반 구 |
|
배낭(60∼80리터) |
막 영 구 |
|
침낭(우모), 매트리스, 텐트슈즈, 텐트, 가스등(양초등), 삽, 비닐 |
취 사 구 |
|
코펠, 버너(개스, 석유, 휘발유 등), 방풍판, 물통, 수저, 조미료�, 세척구 |
기 타 |
|
세면구, 재봉구. 휴지, 성냥, 무전기, 망원경, 예비성냥, 예비끈 등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