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가 있는 공간]/아름다운 주택들...

전통이 살아 숨쉬는 우리나라의 전통가옥

현정 (炫貞) 2007. 6. 2. 13:18
전통이 살아 숨쉬는 우리나라의 전통가옥
 
    
안채와 바깥채 두 채가 모두 일자형이며 앞 뒤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규모는 호남지방의 중농가에 속하며 안채는 방과 마루 공간이 넓고 바깥채는 광이 많으며 사랑방과 머슴방이 달려있다.
    
남부지방의 농가로서는 매우 드물게 ㄱ자형으로 안채를 세웠다. 안채 사랑채, 헛간채 3동이 여유있게 배치되었고, 안채의 대청이 뒤쪽으로 물려진 것이 특이하다.
  
북부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ㄱ자형 안채와 남부 특유의 일자형 아랫채가 혼합 구성된 민가 형식이다. 버들공예를 주업으로 하는 집이어서 대청이 넓고 공방이나 재료 저장고로 쓸 수 있는 방이 많다.
  
ㄷ자형의 안채와 ㄱ자형의 사랑채, 일자형의 광채, 문간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도나 규모가 큰 집이다. 마루와 툇마루, 누마루가 고루 배설되어 있으며 아기자기한 공간구성은 여유있는 문화생활의 일면을 보여준다.
  
경기도 수원 화성 내에 있었던 1867년 세워진 아흔 아홉칸 양반가를 이건한 가옥으로 민간에서 지을 수 있는 최대규모의 집이다.
안채와 사랑채를 비롯하여 바깥행랑채,안행랑채,초당,별당,큰사랑채,사당 등이 독립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사랑채는 바깥주인의 침실과 서재, 응접실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흔히 다른 곳보다 화려하게 꾸며져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 회랑이 설치되어 있어 회랑을 따라가면 신발을 신지 않고도
내당까지 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누마루,대청 등이 온돌방과 적절히 혼합되어 있어 전형적인 중부지방 가옥의 특징이 돋보이기도 한다.특히 사랑채는 한국전쟁동안 9.28 수복 후 약 1년 동안 수원 지방법원 건물로 사용되었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중부지방 가옥 특유의 튼 ㅁ자형식의 집으로 안대청과 사랑마루,툇마루가 고루 갖추어져 있다. 특히 대문간은 안벽이 차단벽으로 되어 있어 내외관념을 염두에 둔 구조로 되어 있다.
  
추운 날씨에도 부엌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넓은 바닥과 벽채가 없는 정주간이 배치되어 있고, 5개의 방이 한 부엌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부엌과 외양간은 ㄱ자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추운 겨울에도 가축을 돌보기 쉽도록 되어있다.
  
북부지방은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한 여러가지 생활의 지혜가 주거문화에 반영되어 있다. 이 집은 일곱 채의 집을 특이한 형태로 배치를 하였는데 안채와 문간채, 사랑채, 광채를 ㅁ자형태로 배치를 하여 바람을 막을 수 있게 했고, 기둥과 기둥사이를 좁히고 전 공간에 온돌을 설치해 실내 난방의 효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지붕을 비교적 낮게 만들고 이엉의 밑둥을 아래로 내려 거친 바람에도 지붕의 이엉이 뒤집히지 않도록 하였는데, 이를 비늘이엉이라고 하며 보온효과가 뛰어나다고 한다.
  
제주도의 가옥은 온난다습 하면서도 바람과 눈비가 많은 기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태풍에 견딜 수 있도록 집 높이는 낮고, 지붕 모양은 거북 등 같고 집 주위에는 돌담이 높게 둘러쳐 있다.또 기후가 사철 따뜻하기 때문에 부엌에 온돌 아궁이 없이 화덕만을 설치하여 음식을 해 먹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기후가 습윤하기 때문에 마루가 발달되어 있고, 비바람에 견딜 수 있게 외벽이 판벽과 돌담으로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지붕은 띠풀로 엮었으며, 토벽을 친 외벽에 우데기를 설치하여 눈보라와 비바람을 막을 수 있게 하였다.이 집은 우데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봉당이 있어 눈이 많이 오는 겨울철에도 최소한의 생활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부엌,방,곳간,변소,장독대가 모두 우데기 외벽에 둘러싸여 모든 곳이 봉당으로 연결되어 있다.부엌에서 나온 연기가 봉당과 천정 위로 올라가면서 천정 위에 보관되어 있는 곡물을 훈증함으로써 방부효과를 높일 수 있게 만든 과학적인 원리가 적용되어 있는 집이다.

 

 

 

자료출처:한국민속촌

07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