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경표」에는 1대간(백두대간) 1정간(장백정간) 13정맥의 산줄기 이음이 있다. 13정맥은 청천강을 기준으로 한 청북정맥과 청남정맥, 한강을 에워싸는 한남과 한북정맥, 금강을 두른 금남과 금북정맥, 낙동강 좌우의 낙동과 낙남정맥, 임진강과 예성강 사이의 임진북예성남정맥과 해서정맥, 호남정맥, 한남금북정맥, 금남호남정맥 등이다. 대부분의 산줄기 이름을 강에서 따온 것은 노년기 산지의 애매한 줄기 이어짐을 역으로 물흐름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이는 대동여지도의 발문에 ‘산줄기는 분수령을 따르게 마련(山自分水嶺)’으로 명문화하고 있는 줄기가름의 대원칙이다.
백두산에서 비롯해 지리산에 이르는 이땅의 용마루 산줄기. 여기서 장백정간과 열세정맥의 서까래산줄기가 뻗어나가 삼천리강산을 이룬다. 넓은 의미로는 이들까지 포함한 개념을 백두대간으로 볼 수 있다. 좁은 의미의 백두대간 영역은 마루금 위 산들의 발치까지다. 따라서 대간은 어느 정도의 폭 을 가진다. 대간을 종주하는 사람들은 마루금만 의미하기도 한다. 주요산은 백두산, 두류산,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이다. 북한은 아니지만 남한은 산다운 산을 망라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문지리적으로는 나라를 크게 동서로 나누는 의미가 있다. 총 길이는 1608킬로미터, 향로봉까지의 남한쪽이 도상거리로 671.5킬로미터고 향로봉부터의 북한쪽이 936.5킬로미터다. 높이는 100미터에서 2750미터까지, 남한만 치자면 1915미터까지다. <산경표>라는 책에 근거한 이 백두대간시스템에는 그러나 몇 가지 풀어야할 문제가 있다. 첫째, 정간과 정맥의 위상 정립이다. 정간은 정맥과 차별화할 필요성이 없는데도 정맥의 상 위개념인 것처럼 되어있는 바 이를 동일위상으로 끌어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둘째는 열세정맥 중 둘, 한남금북과 금남호남의 겹치기정맥을 독립된 정맥으로 볼 것인가 중복부분으로 볼 것인가다. 이름은 없지만 같은 모양의, 대간과 해서 및 임진북예성남정맥 사이 부분, 대간에서 청남북정맥이 갈리는 부분까지를 어떻게 대접할까도 문제다. 실용성을 위해서는 단순화로 나아가 두 정맥이 병행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어떨까. 셋째, 잘못된 산줄기 방향을 바로잡는 것이다. 정맥이름의 태반이 강에서 유래한 점에서 보듯 정맥은 강을 에워싼 산줄기다. 그래서 거의 강 하구에서 끝맺고있는데 한북정맥과 금남 정맥은 이 원칙을 무시한다. 한북은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오두산으로 가야할 것이 그 남쪽의 장명산으로 뻗었고 금남은 옥구로 향하지 않고 금강 중류의 부여 조룡대에서 마쳤다. 전통의 창조적 계승이 필요한 대목이다.
함경도 두류산(2309m)에서 두만강 하구의 서수라곶산으로 뻗은 산줄기. 만탑산 (2205m), 궤상봉(2333m), 관모봉(2541m), 백사봉(1139m), 송진산(1146m)이 여기 있다. 지금 은 관모봉으로만 알려져있는, 나라에서 두번째 가는 산 장백산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 남쪽 이 고향인 이의 회고록을 따르면 장백산은 백산이라 불렸다고 한다. 일대는 수치로 보아 알 수 있듯이 2000미터 이상의 산이 즐비해 왜정시대에는 "조선의 알프스"라는 칭호를 들었다. 서양 본뜨기에 목을 맨 일본인들의 짓일 따름이지만. 낙남정맥: 규장각도서 <여지편람>의 산경표에 낙남정간이라고 나와있는 것이다. 낙동강 남 쪽의 정맥이라는 뜻으로 지리산 영신봉(1652m)에서 시작하여 김해 분산에서 끝난다. 종점을 지금은 분성산이라고 한다. '강 둘러싸기 원칙'을 따른다면 동쪽의 신어산(630m), 그 낙맥인 백두산(353m)까지 가야할 것이다. 원칙에 충실하려면 낙동강 하구의 봉화산(278m)쪽이 맞지 않느냐고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 는데 이는 현대적 해석일 뿐이다. 낙동강하구둑이 쌓이기 전까지는 분성산과 신어산에 기대 있는 고을 김해 앞을 흐르는 서낙동강으로 바닷물이 들어왔다. 주요 산으로는 옥산(614m), 무량산(581m), 여항산(744m), 무학산(761m)이 있다. 이렇게 낮은 것들 뿐이지만 기후와 인간생활에는 큰 영향을 미쳐 남쪽과 북쪽을 해양문화권과 내륙문화권으로 나눈다.
대동강과 임진·예성강 사이로 뻗은 정맥이다. 대간의 두류산에서 시작하여 장산곶에서 끝난다. 주요 산은 가사산(1361m), 동백년산(1246m), 고달산(866m), 대각산(1277m), 언진산(1120m), 멸악산(816m), 수양산, 불타산(608m)이다. <산경표>는 고달산 아래 개연산까지가 백두대간이고 거기서 해서정맥과 임진북예성남정맥 이 갈려나간다고 하는데 개연산은 오늘날 지도에는 이름이 없고 대신 화개산(1041m)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있다. 이 정맥은 중부지방과 북부지방을 가르는 선이다. 그래서 식생과 농사가 이 선을 경계로 하 는 것이 많다 .
주요 산은 백암산 (1110m), 적근산(1073m), 대성산(1175m), 포천 백운산(904m), 운악산(936m), 죽엽산(610m), 불곡산(470m)이다. <산경표>는 불곡산 이후 도봉(717m), 삼각산(836m), 노고산(496m) 지나 현달산, 고봉산 (208.8m), 그리고 지금 심학산으로 불리는 장명산에서 끝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왕도 의 진산 삼각산을 넣기 위한 왜곡으로 보인다. 진실은 불곡산 아래 호명산(423m)에서 남쪽 의 도봉으로 향하지 않고 서쪽의 계명산(622m), 혜음령, 명봉산(248m), 월롱산(229m), 기간 봉(246m), 그리고 오두산 통일전망대다 .
낙동강 동쪽 울타리를 이루는 산줄기다. 대간의 매봉[산]에서 시작하여 몰운대에서 끝난다. 주요 산은 통고산(1067m), 백암산(1004m), 주왕산(721m), 단석산(829m), 가지산(1240m), 취서산(1092m), 금정산(802m)이다. 경상도가 동쪽과 남쪽이 바다와 닿아있으면서도 내륙문화권으로 된 것은 이것과 낙남정맥 때문이다. 경상도의 음식이 별로인 것 역시 이런 이유에서로, 해물이 들어오지 않는 위에 퇴 적암인 경상계 지형이 물맛이 없어서다 .
|
'[취미생활과 여행] > 등산지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이란? (0) | 2007.05.26 |
---|---|
백두대간 종주구간 및 방법 (0) | 2007.05.26 |
백두대간 종주등반 진행순서 (0) | 2007.05.26 |
백두대간 24구간별 산행 길잡이 (0) | 2007.05.26 |
[스크랩] 등산 관련 사이트 (0) | 200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