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스윙은 몸이 도는 것
공이나 물체가 땅에 붙어있거나 공중에 떠있던 상관없이 이 몸체나 공을 치거나 던지거나 차거나 밀거나 또는 굴리거나 허는 운동은 두가지로 나누어 진다.
볼링, 닷트, 당구, 크로켓, 농구 등은 몸이 목표를 보고서서 하는 운동으로 근본적으로 손을 곧바로 봅았다가 곧바로 목표로 보내는 직선 게임(straight on)이고, 그런만면 골프, 테니스, 야구 폴로, 하키, 등은 몸이 목표선의 옆에서서 공이나 물체가 몸위 한쪽에 있거나 한쪽으로 움직여 오는 상태에서 몸과 팔이 돌면서 던지거나 기구를 써서 치는 곡선게임(circuler)으로 나누어진다.
즉 골프게임은 손이나 쿨럽이 안으로 들어같다 공쪽으로 다시 안으로 들어와야 힘있는 동작을 할수있지 다른방법은 절대로 없는 게임이다.
그러나 대부분 사람들은 이 이론울 망각하고 클럽을 곧장 뒤로 뽑았다가 목표로 던지는 방법을 택하기 때문에 노어느정도 실력이 올라간후에는 더이상 발전이 없는것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의 심리가 물건을 목표로 보내려면 주로 한손으로 목표로 곧장 던지는 습관이 있기때문네에골프공 역시 목표로 보내기 위해서 되도록 클럽을 곧장 뽑았다거 곧장 목표를 향해 미는 식의 동작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게 하면 공은 바로 갈수 있으나 거리를 내려면, 오히려 공이 바로가지 못하고 훅이 나거나 슬라이스내면서 고전을 하게 되는것이다.
물론 클럽을 오래동안 목표선을 보게 스윙을 하는 동작도 원을 그리기는 그린다, 문제는 어떻게 원을 그리냐는 것이다.
골프는 어느정도 수준에 올라가있는 골퍼라면 거리를 많이 내는 사람이 골프를 쉽게 치는 사람이고 잘치는 사람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골프를 잘치려면, Fairway-green 즉 tee shot은 Fairway에 떨어트리고 regulation으로 그린에 올리면 스코어를 잘만든다고 하여 프로들이 거리보다는 정확성을 중요시 헸는데 , 1997년 부터 Tiger Wood 가 장타를 치면서 PGA 투어를 휩쓸기 시작하면서 프로들의 생각이 많이 바뀌게 되어 이제는 공이 Rough에 빠지던 Fair에 떨어지던 길게 치고보자는 것이 그들의 철학이다.
왜냐하면 Fairway에서 5번 iron을 치는것 보다는 rough에서 8번 iron을 치는것이 그린공격에 더유리하다는 결론이다.
보통 코스에서는 공을 길게 치면 그만큼 게임이 쉬워지기 때문에 너나 할것없이 길게 치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래서 공을 길게 치려면, 클럽이 원을 그려야 하는데, 다시 말해서 클럽이 안쪽으로 들어 왔다
공쪽 으로 나갔다가 다시 안쪽으로 들어가는 원을 그려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손이 안쪽으로 들어갔다 공을 치고는 다시 안쪽으로 들어가야 하며 또 그런식으로 움직이려면 몸이 역시 돌아야 하는것이다.
손이 원을 그리면서 몸이 돌던지, 몸이 돌면서 손이 원을 그리던지 둘중에 하나를 택해서 연습을 하여야 하는것이다.
상세히 말하면 몸과 손이 동시에 움직이지만. 둘중에 하나가 리드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알고 계세요?
모든 구기종목은 살아있는 공을 치고 때리고 차는데 골프는 죽은공을 치는것을?
야구는 날라오는 볼을 때리고
축구는 뛰어가면서 차고
배구는 날라오는볼을 스파이크 하지요.
골프는 탄력이 전혀 없이 죽어있는 볼을 서서 때리는 즉 죽은볼을 살려보내는 운동이지요.